서식지(9)
-
감천에서 만난 혹부리오리
혹부리오리는 바다에서만 관찰되는 줄 알았습니다. 조류도감에서도 서식지는 갯벌과 하구라고 기재되어 있더군요. 2021.2.13. 경북 김천의 감천에서 만난 혹부리오리입니다. 지난 1월에는 우포늪에서도 만났지요. 저는 처음 봐서 신기했는데 전문가분들은 아닌가 봅니다. 우포늪에서는 자주 관찰되나 봅니다. [새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탐론 망원줌렌즈 150-600mm G2, 산들강의 새이야기
2021.02.22 -
귀제비 둥지와 어미새를 기다리는 아기새(육추)
호리병 모양의 귀제비 둥지를 발견하고 가만히 쳐다보니 아기새 한마리가 머리를 내밀고 있습니다. 얼마전 다녀온 귀제비 서식지... 그때만해도 어미새가 둥지를 보수하고 있었는데 언제 컷는지 아기새가 다 컷네요. 머리를 내밀고 어미새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는 귀제비 유조... 귀제비들도 사람에 대한 두려움은 적은듯 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탐론 망원줌렌즈 150-600mm G2, 산들강의 새이야기
2020.06.10 -
형산강 물수리 ... 촬영 참 어렵다.
형산강 물수리 ... 촬영 참 어렵다. - 2017. 10. 1. 경북 포항시 남구 연일읍, 형산강변에서 - 2017. 10월의 첫날... 형산강에 물수리를 촬영하러 갔습니다. 그런데... 참 힘들다. 물수리는 1마리만 와있는지 아침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2번 봤습니다. 중간에 모형비행기 날리는 사람때문에 새들은 혼비백산... 새들 서식지에서는 모형비행기를 날리지 마시길... 분위기가 이상해지고 대포를 들고온 진사님들도 생각보다 적은 20명정도... 이젠 형산강 물수리 촬영하기 좋은 시절은 간건지... 하여튼 많이 아쉬운 하루였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10.02 -
동해안 가마우지
동해안 가마우지(2016. 12. 3, 경북 포항) 동해안 탐조중에 만난 가마우지입니다. 거리가 제법 가까워 저에게 희망을 줬는데... 아쉽게도 물고기 사냥엔 실패를 했습니다. 기다리다 지쳤습니다. ㅋㅋㅋ 가마우지와 민물가마우지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 듯합니다. 저는 보통 서식지를 보고 판단을 할까 했지만 사진을 볼때마다 헷갈리더군요. 가마우지는 사다새목 가마우지과에 속하며, 크기가 84cm인 대형 조류입니다. 민물가마우지와 매우 유사하나 몸의 윗면은 검은색을 띤 녹색이고 금속 광택이 있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여름깃에서 겨울깃으로 진행중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정도면 구별이 가능할 것도 같네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12.08 -
구미 해평습지의 흑두루미(2016.10.29) 그리고 교란행위들...
구미 해평습지의 흑두루미(2016.10.29) 그리고 교란행위들... 2016. 10. 29. 경북 구미시에 위치한 낙동강 해평습지에 흑두루미 575마리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평화롭게 먹이활동중인 흑두루미들... 구미 해평습지에서 이런 모습을 보다니 신기했습니다. 흑두루미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는 아주 귀한 새입니다. 그래서 겨울진객이라고 부르지요. 그런데 이런 흑두루미의 서식을 방해하는 요인들... 즉, 교란행위들이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예전에는 인근의 경비행기가 그래서 협조를 요청해서 요즘은 문제가 없었는데... 지금은 엔진을 달은 패러글라이딩하는 사람들이 시끄러운 소음을 내면서 주변에서 활공을 합니다. 그리고 낚시하시는 분들이 차량을 몰고 들어와서 주차를 하고 밤샘 낚시를 ..
2016.10.31 -
겨울철새 멸종위기종 큰기러기를 만나다.
겨울철새 멸종위기종 큰기러기를 만나다. 가을이 오면 기러기들이 날아오기 시작합니다. 요즘 제 귀엔 어디에서 뭐가 날아오고 날아간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립니다. 그래서 오늘 오후 어디론가 겨울철새를 만나러 떠나야 합니다. 겨울철새의 대표주자격인 큰기러기와 쇠기러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천수만이나 우포늪, 주남저수지, 금강하구언 등 겨울철새 서식지에 가면 기러기를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이중 큰기러기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고 쇠기러기는 지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사진을 보면 앞쪽에 한마리가 큰기러기입니다. 부리를 보면 색이 좀 다릅니다. 물론 큰기러기가 크기도 크지요. 큰기러기 한마리만 촬영한 사진입니다. 우연히 동해안쪽으로 이동하다 만난 재수 좋은 기러기들입니다. 기러기목 오리과 기러기류에 속..
2011.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