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36)
-
울릉도의 희귀 포유류 다람쥐
울릉도의 희귀 포유류 다람쥐 울릉도에는 자연에서 야생 포유류가 살지 않습니다. 1990년대에 다람쥐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방사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 이후 몇년간 관찰되지 않다가 최근 성인봉 근처에서 관찰되었지요. 그런데... 이 사진은 울릉도에서 남쪽인 통구미마을쪽에서 관찰하였지요. 이른 아침에 다람쥐 한마리가 뛰어가더군요. 울릉도에 다람쥐가 없었던 것은 먹이때문이라고 합니다. 겨울철에 먹을 먹이가 없다고 하네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07.27 -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만나다.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만나다. - 도도한 모습으로 워킹하는 것 같습니다. - 지난 주말 우포늪에 물꿩을 촬영하러 갔습니다. 약간 이른 시간이지만 많은 분들이 촬영하고 계시더군요. 전 장비를 제대로 준비를 하지 않아서 먼 곳에 위치한 물꿩 촬영은 어렵더군요. 그래서 이리저리 둘러보기 시작했답니다. 포유류 한마리가 휙 지나갑니다. 뭐지? 카메라를 세우고 촬영하는데 머리를 내밉니다. "족제비다" 속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촬영했답니다.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이렇게 만났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07.25 -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포유류) 담비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포유류) 담비 친구들과의 모임에 갔다가 아침 등산길에 올랐습니다. 정상에 도착한 후 내려오는 길에 500m앞 숲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발견했습니다. 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를 꺼내들고 확인을 해보니 담비였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담비가 2종류가 살고 있습니다. 이남에 사는 노란목도리담비와 이북에 살고 있는 대륙목도리담비가 있죠. 담비는 식육목 족제비과 담비속에 속하며, 크기는 35 ~ 60cm정도로 삵보다 큽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11.12 -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 지정ㆍ관리제도 확대(221종에서 246종) 개편
2012. . 31 "야생동ㆍ식물보호법 시행규칙"이 개정 공포되어 멸종위기야생동ㆍ식물이 기존 221종에서 246종으로 확대되었다. 신규로 지정된 멸종위기종은 따오기, 수원청개구리 등 57종이고 가창오리 등 개채수가 많다고 판단되는 32종은 멸종위기종에서 해제되었다. 신규로 지정된 멸종위기종들은 야생동식물보호법에 따라 불법포획, 채취, 유통 및 보관 등의 행위가 엄격히 금지되고 이 법 시행이후 1년 이내에 보관하고 있는 경우 관할 지방환경관서에 보관신고를 해야한다. 멸종위기종이 총 221종에서 246종으로 확대되었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1. 포유류는 22종에서 20종으로 2종이 감소, 2. 조류는 61종에서 61종으로, 3. 양서파충류는 6종에서 7종 증가, 4. 어류는 18종에 25종으로, 곤충류는 20종..
2012.05.31 -
생태계교란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는 "뉴트리아"
생태계교란야생동물로 지정되어 있는 "뉴트리아" 주남저수지에서 사진을 촬영하다보면 사람들에게 오해를 주는 동물이 있습니다. 뉴트리아인데요. 수달로 오해를 하시는 분이 있어서 설명을 하고자합니다. 환경부에서 운영 중인 법중에서 야생동식물보호법이 있습니다. 이법에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국제적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유해야생동물 등으로 구분을 해놨습니다. 이중에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에 대한 정의로, 1. 외국으로 부터 인외적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 2. 유전자의 변형을 통하여 생산된 유전자변형생물체중 생태계의 균형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있는 야생동식물 위 두가지로 지정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야생동식물보호법에서는 생태계교란..
2011.11.12 -
낙동강 고라니의 씩씩한 모습을 연사로 촬영하다.
낙동강 고라니의 씩씩한 모습을 연사로 촬영하다. 포유류인 고라니를 연사로 촬영한 사진입니다. 장소는 낙동강이며, 비가 많이 내린 후 저녁 석양이 붉은 날이었습니다. 고라니의 얼굴을 보면 흐믓해하는 표정인 것 같습니다. 연사 촬영 이후 한쪽 구석에서 풀을 뜯고 있었는데... 아쉽게도 이 모습은 촬영할 수 없었습니다. 오늘은 집중강우와 폭염 등 어려운 여건임에도 씩씩하게 살아가는 고라니를 만나봤습니다. 여러분 더우시죠. 대구는 며칠째 폭염주의보가 내려져 있답니다. 오늘도 33도라는데 얼마나 더워질까요? 오늘은 광복절입니다. 의미있는 휴일을 만드시기 바랍니다. 위 사진들은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로 촬영한 것입니다. 지금까지 산들강의 새이야기에서 고라니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
2011.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