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93

여름철새 후투티의 아기새 독립 교육 여름철새 후투티의 아기새 독립 교육 - 2017. 5. 8,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 대구수목원에서 - 1차 육추를 끝낸 여름철새 후투티 4마리가 함께 몰려다닙니다. 뭘하는지 궁금해서 지켜봤습니다. 엄마 후투티가 땅바닥을 콕콕 찍으면서 벌레를 찾아내면 아기새들이 쪼르르 달려와 먹고 갑니다. 아기새 독립을 위한 준비 그리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아기새 두마리가 어미새를 쳐다보고 있다. 빨리 먹이를 줬으면 하는 표정이다. 어미새는 바닥을 파고... 아기새에게 먹일 벌레를 찾고 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탐론 망원렌즈 150-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13.
노랑발도요(2017.5.10, 동해안에서) 노랑발도요(2017.5.10, 동해안에서) 노랑발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5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몸 윗몸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회갈색이며, 흰색의 논썹선이 뚜렷하다. 눈 앞부분은 어두운 갈색, 다리는 짧으며 노란색으로 이름이 붙어 있다. 또한, 아주 예민한 도요새로 촬영이 쉽지 않아 기다람이 필요하다. 주로 관찰되는 장소로는 갯벌, 하구, 해안, 염전 등 해안가와 관련된 지역이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150-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12.
멸종위기종 흰목물떼새 멸종위기종 흰목물떼새 풀숲에 숨어 있는 흰목물떼새 2마리를 만났습니다. 이쪽 저쪽에 울고 있는 모습이 이상합니다. 어딘가에 둥지가 있는 건 아닐까? 풀숲이라 차는건 쉽지 않을 듯 싶어 잠시 쳐다보다 말았습니다. 흰목물떼새는 법령에 따라 보호하는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2급)으로 지정보호합니다. 숲에서 경계하고 있는 흰목물떼새... 150-600mm로 담아봤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150-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11.
알락도요, 접사로 촬영하다. 알락도요, 접사로 촬영하다. 알락도요를 올해는 아주 많은 개체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거리가 멀어서 이런 모습은 불가능하였지요. 며칠전 알락도요 1마리를 우연히 만났는데... 거리를 잘 주더군요. ㅎㅎㅎ 알락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0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눈썹선은 흰색으로 뚜렷하고 다리는 노란색이고 몸 윗면의 흰색 반점이 뚜렷한 것이 특징입니다. 봄과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쉽게 관찰되며, 때때로 무리가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10.
북상하는 중부리도요떼와의 만남 북상하는 중부리도요떼와의 만남 중부리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43cm인 중형급 도요새입니다. 머리꼭대기 양쪽에 두 개의 어두운 갈색 줄이 있어 마도요와 구별이 가능합니다. 몸의 윗면은 진한 갈색이며, 깃털의 가장자리는 흐린 갈색, 가슴은 황갈색이며, 줄무늬가 뚜렷합니다. 갯벌, 하구, 논, 초지 등에서 주로 관찰되며, 봄과 가을에 주로 관찰되는 나그네새이자 여름철새입니다. 해안가에서 다른 도요를 촬영하고 있는데 지나가는 도요떼를 발견하고 바로 촬영했습니다. 아마도 이 지역을 지나가는 북상하는 중부리도요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9.
역광으로 촬영한 붉은가슴밭종다리 역광으로 촬영한 붉은가슴밭종다리 충청도 서산, 경북 포항에서 만난 이후 세번째 만나는 붉은가슴밭종다리이다. 많은 개체가 관찰되었지만 너무 가까워서 촬영은 역광으로 딱 1개체만 관찰되었답니다. 붉은가슴밭종다리는 참새목 할미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15cm인 소형 조류입니다. 머리와 앞가슴은 살색에 가까운 연한 적갈색이며, 개체에 따라서는 진한 적갈색인 경우도 있다. 황갈색의 등과 옆구리에는 검은색의 세로줄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띤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8.
큰오색딱다구리 암컷 큰오색딱다구리 암컷 큰오색딱다구리 한마리가 먹이사냥을 나왔습니다. 암컷이라 이상한 생각이 듭니다. 이제 곧 수컷이 만들어 놓은 둥지에서 아기새를 키워야할텐데... 이렇게 돌아다니는 이유가 뭘까요? 아직도 짝을 찾지 못한 걸까요? 아니면 수컷이 만들어 놓은 둥지를 찾는 걸까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7.
중백로의 미꾸라지 사냥(2017.5.3) 중백로의 미꾸라지 사냥(2017.5.3) 오랜만에 만나는 중백로이다. 지난 겨울에는 중대백로와 대백로만 관찰되더니... ㅎㅎㅎ 그것도 미꾸라지를 사냥하는 장면에서 만났다. 시간만 있으면 좀 더 지켜볼 수 있었을텐... 중백로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며, 크기가 68cm인 대형 조류입니다. 다리는 검은색이며, 여름에는 목과 등에 장식깃이 발달하고 눈 앞부분과 부리의 일부는 노란색입니다. 논, 하천, 저수지, 호수 등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으나, 쇠백로와 중대백로에 비해 개체수가 적다. 사냥한 미꾸라지를 먹기 위한 준비운동이 시작되었다. 좌로 돌리고 울로 돌리고... 그러다가 꿀꺽~~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6.
메추라기도요(2017.4.29) 메추라기도요(2017.4.29) 메추라기도요는 몇년전 충남 서천에서 만난 이후 두번째 만남입니다. 메추라기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1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머리꼭대기는 적갈색이며, 뚜렷한 흰색의 눈썹선이 있습니다. 아메리카메추라기도요와 비슷하며, 메추라기도요는 가슴 앞 줄무늬와 아랫배의 점이 있는 것과 다르다. 논, 호수, 갯벌 등에서 주로 관찰되며, 본 사진은 동해안의 해안가이다. 조그마한 몸으로 먹이를 찾아 다닌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4.
꼬까도요(2017.4.29) 꼬까도요(2017.4.29) 오랜만에 만나는 꼬까도요입니다. 검은가슴물떼새를 만나는 과정에 우연히 만났습니다. 꼬까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2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머리에서 가슴까지 흰색 바탕에 특징적인 검은색 줄무늬가 있습니다. 검은색 부리는 짧고 위로 약간 휘어진 듯하게 보이며, 짧은 다리는 붉은색 또는 주황색입니다. 갯벌에서 다른 도요류의 무리에 섞여 발견되지만 모래나 바위가 있는 해안에서 적은수가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3.
귀요미 검은가슴물떼새 귀요미 검은가슴물떼새(2017.4.29) 매년 봄과 가을이되면 기다리는 새가 있습니다. 도요들인데요. 그 중에서 검은가슴물떼새가 참 귀엽습니다. 오랜만에 만나는 검은가슴물떼새로 인하여 가슴이 살짝 뛰더군요. ㅋㅋㅋ 도요목 물떼새과에 속하며, 크기는 24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전체적으로 밝은 노란색을 띠며, 날때 허리는 어두운 갈색이다. 몸의 아랫면은 검은색이며 옆구리는 흰색을 띤 갈색입니다. 개꿩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개꿩은 몸의 윗면에 있는 황갈색이 없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2.
2017년 5월, 새사진 달력(장다리물떼새, 후투티, 왕눈물떼새, 발구지) 2017년 5월, 새사진 달력(장다리물떼새, 후투티, 왕눈물떼새, 발구지) 2017. 4월중 촬영한 사진 중에 장다리물떼새, 후투티, 왕눈물떼새, 발구지를 5월 달력 모델로 하였습니다. 개인별 사용하시는 컴퓨터의 모니터(해상도)에 첨부파일을 받아 원본 그대로 사용하세요. 그리고 본 사진은 저작권이 보호되니 편집 및 수정은 아니되며, 본 목적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장다리물떼새 2. 후투티 3. 왕눈물떼새 4. 발구지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5. 1.
여름철새 후투티의 육추장면(2017년 1차) 여름철새 후투티의 육추장면(2017년 1차) - 2917. 4. 29, 경북 경주시 황성동, 경주 황성공원에서 - 아직은 아기새가 어린 듯 합니다. 2주 이내에 이소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현재 육추중인 곳은 제가 확인한 곳은 3곳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30.
노랑부리백로(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노랑부리백로(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노랑부리백로는 황새목 백로과에 속하며, 크기가 68cm로 쇠백로 61cm보다 약간 큰 편입니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눈은 흐린 노란색입니다. 여름깃으로는 다른 백로류에 비해 뒷머리 댕기깃이 많으며, 부리는 진한 노란색입니다. 다리는 검은색이지만 발은 쇠백로처럼 노란색이라 구별이 쉽게 됩니다. 천연기념물 제361호,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1급으로 지정보호하고 있으며, 전세계 대부분의 개체가 우리나라 서해안에 서식하며, 낙동강, 속초에도 가끔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29.
천연기념물 원앙 수컷 천연기념물 원앙 수컷 천연기념물인 원앙 수컷이 나무 위에서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경계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주변에 원앙 둥지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올해도 아기새들을 잘 키웠으면 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27.
숨어있는 호사도요 관찰 숨어있는 호사도요 관찰 호사도요는 도요목 호사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4cm인 소형 조류입니다. 긴 부리는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고 다리는 노란색을 띤 녹색입니다. 강, 하구, 저수지 등 내륙습지에서 봄과 가을에 아주 희귀하게 만날 수 있는 나그네새입니다. 저는 이번에 다시 종 추가하는 즐거움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26.
대백로 여름깃(혼인색) 그리고 미꾸라지 사냥 대백로 여름깃(혼인색) 그리고 미꾸라지 사냥 대백로 혼인색이 참으로 보기 좋습니다. 중대백로의 아종이기도한 대백로는 그 형태가 완전 똑 같습니다. 미꾸라지 한마리를 사냥하여 잡았습니다. 몇번인가를 떨어뜨릴 정도로 힘이 아주 좋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25.
처음 만난 발구지 처음 만난 발구지 새로운 종 추가는 언제나 즐겁습니다. 200여종을 넘긴 뒤 새로운 종을 만나기는 쉽지 않은 일인데요. 2017. 4월 탐조 중에 발구지라는 이름의 오리를 처음 만났습니다. 사진은 일몰전 시간대 촬영입니다. 발구지 소개 기러기목 오리과 수면성 오리류에 속하며, 크기가 38cm인 소형 오리로 쇠오리와 크기가 같습니다. 수컷은 머리는 어두운 밤색, 머리에는 흰색의 뚜렷한 큰 눈썹선이 있으며, 이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암컷은 쇠오리와 유사하나 흰 눈썹선과 검은색 눈선, 부리 기부의 흰색 점이 뚜렷합니다. 하구, 해안가의 저수지와 논에서 주로 봄과 가을에 관찰되는 나그네새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