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90

귀요미 박새 귀요미 박새 - 2017. 1. 17.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화원유원지에서 - 화원유원지를 정상에 올라 낙동강을 둘러보다가 내려오는 길에 만난 박새입니다. 제 앞에 서서 가는 길을 막네요. 음... 자기를 촬영해 달라는 듯... 모델급 박새입니다. ㅋㅋㅋ 목을 쭉 빼서 키가 크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긴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날아가지 않습니다. 5분간 앞에서 놀던 박새는 다른 박새들과 어울려 날아갔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 mark2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8.
열매를 찾은 개똥지빠귀 열매를 찾은 개똥지빠귀 - 2017. 1. 15,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화원유원지에서 - 2017년 겨울나기를 시작한 개똥지빠귀 암컷... 이리저리 먹이를 찾아다니다 열매를 하나 찾았습니다. 기분쫗게 한번에 꿀꺽하고는 웃습니다. ㅎㅎㅎ 오늘 땡잡았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7.
유리딱새 수컷 유리딱새 수컷 - 2017. 1. 14,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리 성산리, 화원유원지에서 - 참새목 지빠귀과에 속하는 유리딱새는 크기가 14cm인 소형조류입니다. 수컷의 경우에는 머리부터 꼬리까지는 몸 윗면이 밝은 파란색이며, 부리에서 눈까지는 흰색의 눈썹선이 있습니다. 멱과 가슴, 배는 흰색이며, 옆구리에는 밝은 주황색이 있습니다. 유리딱새 수컷은 맞지만 색이 불균형해서 어린새에서 성조로 변하는 변환깃인 것 같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6.
바람을 타는 황조롱이(천연기념물 323호) 바람을 타는 황조롱이(천연기념물 323호) - 2017. 1. 14.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화원유원지에서 - 화원유원지 탐조를 끝내고 내려오는 길에 만난 황조롱이 한마리입니다. 강한 바람을 타는 활공을 보여주고 있어서 간단히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저를 느끼는 순간 방향을 바꾸니 바로 날아갔습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5.
겨울철새 홍머리오리 부부 겨울철새 홍머리오리 부부의 다정한 모습 부산 명지갯벌에서 홍머리오리 부부를 담았습니다. 카메라 셔터소리에 저를 쳐다보네요. 미안~~~ 미안~~~ ㅎㅎㅎ 다시금 다정히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 애틋함이 보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4.
물닭의 횡재 물닭의 횡재 낙동강 하구둑 인근의 식당에 점심 먹어러 갔다가 앞쪽의 낙동강에서 잠깐 촬영한 물닭입니다. 오늘 물닭은 대형 회 한점을 독식하는 모습입니다. ㅎㅎㅎ 운빨 좋지요. 물닭들이 많은 곳에서 도망을 가더군요. 그러더니 뒤도 안돌아보고 쓱싹합니다. ㅋㅋㅋ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2.
흰줄박이오리와의 재회 흰줄박이오리와의 재회 흰줄박이오리 암컷이 보고 있는 곳에서 수컷 한마리가 재롱이 부리고 있습니다. 가끔은 꼬리를 흔들기도 하고 ... 가만이 있다가도... 이렇게 난리를 칩니다. ㅎㅎㅎ 이유가 뭘까요? 동일한 행동을 계속하는 것이 암컷을 유혹하는 것일까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0.
귀뿔논병아리(경북 동해안) 귀뿔논병아리(경북 동해안) 그동안 논병아리. 검은목논병아리, 큰논병아리, 뿔논병아리를 촬영하였고 마지막으로 귀뿔논병아리를 담아 논병아리목의 모든 새를 담았네요. 귀뿔논병아리는 논병아리목 논병아리과에 속하며, 크기가 33cm인 중소형 조류입니다. 부리는 검은색이며 직선이고 끝에 흰색의 작은 점이 있습니다. 눈은 빨간색입니다. 귀뿔논병아리와 가장 헷갈리는 조류(유사종)는 검은목논병아리입니다. 부리에서 이어진 적갈색의 선이 직선이면 귀뿔논병아리, 아래쪽으로 쳐지면 검은목논병아리랍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8.
흰빰오리 암컷, 수컷 흰빰오리 암컷, 수컷(포항 형산강) 기러기목 오리과 잠수성 오리류에 속하며, 크기가 45cm인 중소형 조류입니다. 나무구멍에 둥지를 틀고 번식을 하며, 눈은 선명한 노란색입니다. 해안, 호수, 저수지, 하천, 하구 등에서 주로 관찰되는 겨울철새입니다. 암컷은 어두운 갈색의 머리와 회색의 몸은 흰색의 목테로 확인됩니다. 검은색 부리 끝에는 노란색 띠가 있어 구별이 쉽습니다. 수컷은 녹색 광택의 머리, 빰에는 둥근 흰색의 점이 있으며, 부리는 검은색입니다. 변환깃은 암컷과 유사하나 흰점의 흔적이 보이기도 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4.
청머리오리 수컷(명지갯벌) 청머리오리 수컷(명지갯벌) 청머리오리는 기러기목 오리과 수면성 오리류에 속하며, 크기가 48cm인 중형 오리입니다. 수컷은 머리가 특이한 형태의 긴 녹색 댕기가 있으며, 흰색의 멱, 검은색 목테, 이마의 흰점, 검은색 띠가 있는 노란색 엉덩이 등이 주요 특징입니다. 암컷은 몸이 균일한 갈색이며, 부리는 검은색이며, 알락오리 암컷과 유사하나 부리가 다릅니다. 강, 하구, 저수지, 해안 등에서 주로 관찰되며, 겨울에 월동하는 겨울철새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3.
2017년 1월, 새사진 달력(물수리, 바다직박구리, 세가락도요, 흰줄박이오리) 2017년 1월, 새사진 달력(물수리, 바다직박구리, 세가락도요, 흰줄박이오리) 2016년 겨울부터 시작된 조류독감(AI)로 인하여 육지쪽 출사는 못나가고 요즘은 바다쪽만 나가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포항과 부산에서 직접 촬영한 물수리, 바다직박구리, 세가락도요, 흰줄박이오리를 모델로 하였습니다. 각자 사용하시는 컴퓨터의 모니터(그래픽) 사이즈에 따라 첨부파일을 받아 원본 그대로 사용하세요. 가로형은 1920*1080, 정사각형은 1600*1280을 이용하십시요. 그리고 본 사진은 저작권이 보호됩니다. 따라서, 본 사진의 편집 및 수정은 아니되며, 본 목적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물수리(부산,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2급) 2. 바다직박구리(부산) 3. 세가락도요(포항) 4. 흰줄박이오리(포항) .. 2017. 1. 2.
2017년 새해 인사드립니다. 2017년 새해 인사드립니다. 2016년 병신년이 가고 2017년 정유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 한해에도 방문하시는 모든 분들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 쥔장, 산들강 백 - 위 사진은 제가 직접 2014년 제주도의 형제섬 일출을 촬영한 사진입니다. 감사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7. 1. 1.
천연기념물 황조롱이의 참새 사냥 천연기념물 황조롱이의 참새 사냥(포항 동해안) 겨울철 탐조를 위하여 동해안에 들렀다가 차량에서 잠시 쉬는데 황조롱이가 전봇대에 앉습니다. 응... 뭔가 한마리를 사냥해서 왔더군요. 열심히 먹이를 먹고 있는데 ... 참새입니다. 설치류만 사냥하는 줄 알았는데... 참새라니... ㅎㅎㅎ 황조롱이는 천연기념물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31.
바다비오리 암컷(부산 명지갯벌) 바다비오리 암컷(부산 명지갯벌) 부산 명지갯벌에서 만난 바다비오리 암컷 한마리입니다. 수컷은 어디가고 혼자서 돌아다닐까요? 바다비오리는 기러기목 오리과 비오리류에 속하며, 크기가 55cm인 중형 조류입니다. 눈과 부리는 붉은색이다. 사진은 암컷으로 머리는 연한 갈색이고 몸은 회색이다. 해안이나 하구에서 가끔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30.
접사, 노랑부리저어새 접사, 노랑부리저어새(부산 명지갯벌에서) 노랑부리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며, 크기는 86cm인 대형 조류입니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다리와 부리의 기부는 검은색입니다. 끝 부분에 노란색을 띤 주걱 모양이 특징이며, 이 부리를 좌우로 저어서 먹이를 찾는다고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2급)과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습니다. 약 10m의 위치에서 만난 노랑부리저어새 1마리입니다. 정말 가까이서 만났답니다. 크롭 없이 원본 사진이랍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29.
붉은부리갈매기 포항 죽천방파제에서 만난 예쁜 붉은부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며, 크기는 40cm, 날개는 92cm입니다. 부리와 다리는 진한 붉은색입니다. 겨울깃으로는 머리는 흰색, 귀깃에는 검은색 반점이 있습니다. 해안, 하구, 갯벌, 호수, 강 등에서 관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흔하게 관찰되는 텃새입니다. 아담하니 귀엽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28.
댕기물떼새 비행 장면 댕기물떼새 비행 장면 댕기물떼새는 도요목 물떼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30cm인 소형 조류입니다. 머리의 검은색 긴 머리깃이 특징이며, 등과 날개는 광택나는 녹색입니다. 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으며, 배는 흰색이고 다리는 붉은색이다. 습지, 하구, 호수 등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포항 형산강에는 10여마리의 댕기물떼새가 놀고 있는데 너무 멀어서 촬영이 어려운 편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27.
명지갯벌의 홍머리오리 수컷 명지갯벌의 홍머리오리 수컷 홍머리오리는 기러기목 오리과 수면성 오리류로 분류되며, 크기는 49cm인 중형 조류입니다. 전체적으로 부리는 회색이며, 끝은 검은색입니다. 수컷의 경우 머리는 적갈색이며, 가슴은 분홍색을 띤 갈색입니다. 노란색이마가 주요 특징입니다. 강, 하수, 저수지, 호수, 해안 등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