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87

주남저수지 재두루미 도래상황(2016.11.8) 주남저수지 재두루미 도래상황(2016.11.8) - 겨울진객, 겨울철새,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 2016. 11. 8. 아침 이른시간에 들런 주남저수지... 두루미쉼터로 가는길은 통제를 하고 있어서 전망대에서 탐조를 하고 있었습니다. 멀리 북쪽에서 재두루미 10여마리가 나타나고 그 뒤를 이어 10여마리 등 총 30여마리가 주남저수지 상공을 비행합니다. 생각보다 재두루미들이 일찍오는구나 하면서 기분좋게 촬영하고 있었습니다. 처음엔 주남저수지 위를 순회하더니 앉을 생각이 없는지 앞쪽 농경지로 자리를 옯겨 순회를 합니다. 착륙하는 사진만 촬영하면 되는데... 몇바퀴 돌더니 그냥 남쪽으로 내려가버립니다. 아마도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는가 봅니다. 현재 주남저수지에는 큰고니는 북꼭에 모여 있고 기러기들과.. 2016. 11. 14.
노랑부리저어새, 파란하늘에 빠지다 노랑부리저어새, 파란하늘에 빠지다 - 2016. 11. 9,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주남저수지 탐조대 앞에서 - 너무나도 아름다웠던 주남저수지의 파란하늘을 배경으로 날고 있는 노랑부리저어새를 담았습니다. 눈이 시리도록 파래서 한파를 몰고 올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사진입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86cm인 대형 조류입니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다리와 부리는 검은색, 부리의 끝 부분은 노란색을 띤 주걱모양의 부리가 특징입니다.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분야 2급)과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11.
알락꼬리마도요(멸종위기종 2급)의 비행샷 알락꼬리마도요(멸종위기종 2급)의 비행샷 알락꼬리 마도요 소개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63cm인 대형 도요새입니다. 부리는 길고 아래로 휘어져 있으며, 수컷이 암컷보다 짧습니다. 날때 등과 허리에 흰색이 전혀 없으며, 날개의 아랫면은 갈색의 가는 줄무늬가 많습니다. 유사종으로는 마도요가 있으며, 아래꼬리덮깃의 흰색이 뚜렷하여 알락꼬리마도요와 구분됩니다. 봄과 가을에 비교적 쉽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며, 갯벌에서 관찰됩니다. 시원하게 비행하는 알락꼬리마도요입니다.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2급)으로 지정 보호하고 있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10.
수상스키 타는 고니(백조) 수상스키 타는 고니(백조) - 2016. 11. 5, 경남 창녕군 유어면, 우포늪에서 - 최근 큰기러기, 쇠기러기에 이어 큰고니가 우포늪에 나타났습니다. 꽤 많은 무리들이 왔더군요. 큰 덩치를 자랑하는 고니는 크기가 1.2m에 달합니다. 큰고니에 비해 크기가 약간 작고 부리 기부의 노란색이 좁고 둥글답니다. 오늘은 수상스키를 타는 고니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비행을 마친 고니가 착륙하는 순간인데요. 꼭 수상스키를 타는 듯한 모습입니다. ㅎㅎㅎ 저수지, 호수, 강, 하구, 간척지, 습지 등에서 주로 관찰되며, 영남지역에는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우포늪, 달성습지, 안심습지, 해평습지 등에서 관찰됩니다. 고니는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2급)과 천연기념물 제201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답니다. [사진 .. 2016. 11. 9.
야생 고라니와의 우연한 만남 야생 고라니와의 우연한 만남 습지를 휭단하면서 걸어가고 있었습니다. 우연히 야생 고라니보다 제가 먼저 발견을 햇네요. 20여m에 있는 고라니를 발견하고 가만히 앉아 카메라로 촬영한 것입니다. 뭐가 궁금한지 큰 귀를 바짝 세워서 저를 관찰합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8.
천수만 흰기러기 천수만 흰기러기 큰부리큰기러기, 쇠기러기, 흰빰검둥오리 사이 흰기러기 한마리가 관찰됩니다. 처음엔 혹시 큰기러기 알비노(백색형 개체)가 아닐까 생각을 했었지요. 비행을 시작하는 흰기러기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7.
예쁜 밭종다리 예쁜 밭종다리 밭종다리는 참새목 할미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16cm인 소형 조류입니다. 몸의 윗면 갈색을 띤 녹색이며, 가슴과 배는 흰색, 턱선과 가슴의 줄무늬는 뚜렷합니다. 눈썹선은 희미하며, 호수, 강 등의 물가, 논 등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6.
주남저수지 큰고니(멸종위기종 & 천연기념물) 주남저수지 큰고니(멸종위기종 & 천연기념물) - 2016. 10. 30,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주남저수지에서 - 큰고니 수십마리가 비행을 하다 주남저수지를 찾습니다. 지난주까지는 주남저수지 전망대의 반대쪽에서만 관찰되더군요. 큰고니는 백조라 불리며, 몸 전체가 흰색이며, 부리끝과 다리는 검은색이고 부리 기부는 노란색 부분이 있습니다. 겨울철새인 큰고니는 내년 3월까지 이곳에서 월동을 하기때문에 우포늪과 주남저수지를 방문하면 만날 수 있답니다. 큰고니 무리가 착륙하는 장면입니다. 육중한 몸으로 비행하고 다시 착륙하는 장면은 항공기의 착륙장면을 연상시킨답니다. 큰고니는 멸종위기종(멸종위기야생생물 2급)과 천연기념물 제201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는 희귀종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 2016. 11. 5.
머리깃이 예쁜 댕기물떼새 머리깃이 예쁜 댕기물떼새 댕기물떼새는 도요목 물떼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30cm인 중소형 조류입니다. 물떼새과에서는 제법 큰쪽에 포함된답니다. 머리의 검은색 긴 머리깃이 특징이며, 등과 날개에는 광택 나는 녹색과 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습니다. 남한에서는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소수가 월동하고 있고 대부분은 지나가는 나그네새입니다. 갯벌, 하천, 하구, 논 등 물이 있는 곳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4.
민물도요의 게사냥 민물도요의 게사냥 - 2016. 10. 26, 충남 서천군 인근의 서해안 갯벌에서 - 민물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19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부리는 길고 아래로 약간 휘어져 있으며, 겨울깃은 몸의 윗면이 회색이고 아랫면은 흰색이다. 도요류중 가장 흔하며, 봄과 가을에 해안가와 내륙습지에서 쉽게 관찰되는 나그네새이다. 민물도요 일부는 전국의 해안과 강하구에서 월동하기도 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3.
나그네새 '뒷부리도요' 나그네새 '뒷부리도요' - 2016. 10. 26, 충남 서천군 인근의 서해안 갯벌에서 - 뒷부리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23cm인 소형 도요새입니다. 부리는 길고 위로 휘어져 있고 흑갈색이며, 기부는 노란색이나 주황색을 띱니다. 봄과 가을철에 주로 갯벌과 하구에서 관찰되는 나그네새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2.
2016년11월, 새사진 달력(마도요, 세가락도요, 쇠딱다구리, 흑두루미, 흰물떼새) 2016년11월, 새사진 달력(마도요, 세가락도요, 쇠딱다구리, 흑두루미, 흰물떼새) 제가 직접 촬영한 마도요, 세가락도요, 쇠딱다구리, 흑두루미,흰물떼새의 새사진으로 만든 달력입니다. 각자 사용하시는 컴퓨터의 모니터 사이즈에 따라 첨부파일을 받아 원본 그대로 사용하세요. 그리고 본 사진은 저작권이 보호됩니다. 따라서, 본 사진의 편집 및 수정은 아니되며, 본 목적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1. 마도요(충남 서천) 2. 세가락도요(경북 포항) 3. 쇠딱다구리(대구수목원) 4. 흑두루미(낙동강 해평습지) 5. 흰물떼새(충남 서천) 다운 받을 파일(모니터 해상도에 따라 달리 다운 받아 사용하세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1. 1.
구미 해평습지의 흑두루미(2016.10.29) 그리고 교란행위들... 구미 해평습지의 흑두루미(2016.10.29) 그리고 교란행위들... 2016. 10. 29. 경북 구미시에 위치한 낙동강 해평습지에 흑두루미 575마리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평화롭게 먹이활동중인 흑두루미들... 구미 해평습지에서 이런 모습을 보다니 신기했습니다. 흑두루미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는 아주 귀한 새입니다. 그래서 겨울진객이라고 부르지요. 그런데 이런 흑두루미의 서식을 방해하는 요인들... 즉, 교란행위들이 곳곳에서 발견됩니다. 예전에는 인근의 경비행기가 그래서 협조를 요청해서 요즘은 문제가 없었는데... 지금은 엔진을 달은 패러글라이딩하는 사람들이 시끄러운 소음을 내면서 주변에서 활공을 합니다. 그리고 낚시하시는 분들이 차량을 몰고 들어와서 주차를 하고 밤샘 낚시를 .. 2016. 10. 31.
마도요 나그네새 '마도요' - 2016. 10. 26, 충남 서천군 장항읍 인근의 서해안 갯벌에서 - 마도요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며, 크기가 58cm인 도요새로 도요새중에서는 아주 큰 조류입니다. 부리가 길고 아래로 휘어져 있어 쉽게 구별되지만 알락꼬리마도요와 헷갈릴 수 있습니다. 꼬리 아래쪽이 흰색이면 마도요이고 몸색과 같은 갈색이면 알락꼬리마도요입니다. 봄과 가을에 쉽게 볼 수 있는 나그네새이지만 가끔 해안과 하구에서 월동도 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0. 30.
나그네새 '개꿩' 나그네새 '개꿩' - 2016. 10. 26, 충남 서천군의 해안가 갯벌에서 - 개꿩은 도요목 물떼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29cm인 소형 조류입니다. 검은가슴물떼새와 아주 유사하며, 황갈색이 있고 없고에 따라 종이 달라집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봄과 가을에 잠시 머물다 지나가는 나그네새이고 갯벌, 하구 등에서 관찰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0. 29.
흑두루미(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흑두루미(멸종위기종&천연기념물) 흑두루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에 속하며, 크기가 100cm인 대형조류입니다. 흰 머리와 목을 제외한 전체가 검은색이며, 어미는 이마가 검고 머리꼭대기는 붉습니다. 어린새는 이마와 머리부분이 흰색이며, 연한 갈색을 띱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천수만, 순천만, 구미 해평습지, 대구 달성습지 등에서 관찰됩니다. 천연기념물 제228호와 멸종위기야생생물(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습니다. 천수만 인근 농경지에서 먹이활동중인 겨울진객 흑두루미 가족...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흑두루미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0. 28.
세가락도요 동해에서 만난 세가락도요(2016. 10. 22)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0. 27.
겨울철새 큰기러기(큰부리큰기러기, 우포늪) 겨울철새 큰기러기(큰부리큰기러기, 우포늪) 2016. 10. 23, 경남 창녕군 대어면 대대리, 우포늪 대대제방에서 - 우포늪 대대제방에 멸종위기야생생물(멸종위기종) 2급이자 겨울철새인 큰기러기(큰부리큰기러기) 100여마리가 도래하여 많은 탐방객들이 즐거워했답니다. 대대로제방과 전망대 사이에서 관찰된 큰기러기 바람이 많이 불어 큰기러기들이 잠시 쉬어가는 것 같습니다. 이 무리들은 우포늪에서 월동을 하지 않고 남쪽나라로 날아갈 듯 하네요. 큰기러기 비행샷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6.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