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84

2013년 9월 자연환경사진으로 만든 PC바탕화면 이미지 공개(꺼벙이 등 4종) 2013년 9월 자연환경사진으로 만든 PC바탕화면 이미지 공개 (꺼벙이, 물꿩, 벌매, 중백로 등 4종) 1. 해평습지의 꺼벙이(꿩의 새끼) 2. 우포늪의 물꿩 육추장면 3. 멸종위기종 벌매(낙동강) 4. 우포늪의 중백로 위 이미지가 필요하신분은 아래 파일을 다운 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9. 4.
풀 먹는 우포늪의 원앙, 귀여워! 우포늪에서 만난 천연기념물 원앙 우포늪에서 만난 천연기념물 원앙입니다. 여름에 만나는 원앙은 텃새라는 사실 아시나요? 원앙이 겨울철새인 경우에는 50여마리 이상의 무리를 이루고 있어서 여름에 1~2마리 만나는 원앙과는 다르답니다. ㅎㅎㅎ 그런데... 물고기를 사냥하는 원앙이 풀을 뜯어 먹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 먹을 것이 없어서 그런 것 같진 않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24.
낙동강 상류에 나타난 멸종위기종 벌매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조류 벌매 - 낙동강 상류, 경북 예천에서 - 벌매 매목 수리과에 속하며, 수컷 57cm, 암컷 60.5cm로 암컷이 조금 큽니다. 깃털색이나 무늬에 매우 다양한 변이가 있다. 몸의 윗면은 주로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고 멱과 목에는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몸의 아랫면은 흰색에서 어두운 갈색까지 다양하며, 성조의 꼬리에는 검은색의 굵은 띠가 있다. 이동중엔 보통 무리를 이루고 비행할땐 목이 길게 느껴진다. 경북 예천의 낙동강에서 만난 벌매 한마리입니다. 이동중엔 무리를 지어 다닌다고 하는데 한마리가 관찰된 것을 보면 인근에 서식지가 있는 걸까요? 벌매 중에서도 성조는 아니고 1~2년차로 보입니다. 새사진 촬영한지 4년이 되었지만 벌매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새로운 종을 추가한다는 것.. 2013. 8. 23.
여름철새 물꿩 아빠의 육추일기 물꿩은 수컷이 육추를 담당한다. -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 새들의 대부분은 육추(아기새 키우는 일)를 엄마가 담당하거나 공동으로 처리한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여름철새인 물꿩은 좀 별납니다. 엄마새는 알만 놓고 알을 품고 깨어난 아기새를 먹이고 키우는 일은 수컷인 아빠가 담당을 한답니다. 아마도 여자분들중에는 부러워하시는 분들도 있을 듯 싶네요. ㅎㅎㅎ 하여튼 알을 놓으면 암컷은 다른 곳으로 날아가 버리고 수컷은 20분 간격으로 알을 품고 먹이를 찾아다닌답니다. 그리고 아기새가 알을 깨고 태어나면 살살 데리고 다니면서 먹이활동을 가르치지요. ㅎㅎㅎ 대단한 물꿩 아빠입니다. 오늘 만난 물꿩은 아빠와 아기새 4마리랍니다. 뒤를 졸졸졸 따라다니는 모습이 참으로 귀엽습니다. 멸종위기종인 가시연꽃이 피어 있.. 2013. 8. 19.
대구수목원에서 벌레를 찾는 후투티 대구수목원에서 벌레를 찾는 후투티 대구수목원에서 여름을 보내는 후투티 한마리입니다. 후투티는 여름철새입니다. 인디언 추장이라는 별명도 가지 아름다운 새랍니다. 오늘은 벌레를 좋아하는 후투티가 대구수목원을 뒤지고 다닙니다. 긴 부리를 이용하여 콕콕 찌르다가 벌레가 발견되면 물지요. 그런 다음, 부리로 콕 찔러 물기를 빼내고 안입에 먹는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18.
멸종위기종 흑비둘기, 울릉도에서 만나다.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흑비둘기 흑비둘기 소개 비둘기목 비둘기과에 속하며, 크기는 40cm로 비둘기 중에 가장 큽니다. 깃털은 녹색과 보라색의 광택이 있으며, 다리는 붉습니다. 울릉도, 소흑산도, 제주도 등의 일부 해안이나 도서에서 관찰 되며, 멸종위기종(야생생물 조류) 2급과 천연기념물 제215호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13.
매미를 사냥한 우포늪 호랑거미 매미를 사냥한 호랑거미 -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11.
사마귀를 사냥한 울릉도 바다직박구리 암컷 사마귀를 사냥한 바다직박구리 암컷 - 울릉도 통구미에서 만나다. -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7.
폭염을 피하는 해오라기의 지혜 폭염을 피하는 해오라기의 지혜 - 연잎 밑에서 피서를 보낸다 - 새들은 여름에 어떻게 피서를 보낼까요? 인간들처럼 바닷가나 산과 계곡에 피서를 가는 건 아니겠지요. 새들도 무더위에는 힘들기때문에 어떻게 잘 보내느냐가 중요하답니다. 물과 그늘이 있는 곳이라면 딱 좋지요. 연밭에서 만난 해오라기 한마리가 딱 피서를 나온 모습입니다. 뜨거운 햇볕을 피해 연잎 밑에서 피서를 보내고 있더군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5.
우포늪의 청둥오리 어미와 아기새 2마리 종종종! 엄마 청둥오리를 따라다니는 아기 오리들... -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 경남 창녕에 위치한 우포늪에 들렀습니다. 탐방로를 따라 열심히 걷고 있는데... 푸드득하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뭐지? 하면서 카메라를 들이대니 청둥오리 어미와 아기새 2마리가 총알같이 달아납니다. 그 상태로 몇장은 연사로 촬영했습니다. 우포늪에서는 탐방로에서 청둥오리를 만나기 쉽지 않은데 운이 좋았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3.
2013년 8월 야생생물 사진으로 만든 월페이퍼(pc바탕화면 이미지) 2013년 8월 야생생물 사진으로 만든 월페이퍼 (pc바탕화면 이미지) 1. 여름 코스모스 2. 우포늪의 여름철새, 물꿩 3. 매미를 사냥한 호랑거미 이용하실분은 아래 파일을 다운받아 사용하세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8. 2.
울릉도의 희귀 포유류 다람쥐 울릉도의 희귀 포유류 다람쥐 울릉도에는 자연에서 야생 포유류가 살지 않습니다. 1990년대에 다람쥐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방사를 한적이 있었습니다. 그 이후 몇년간 관찰되지 않다가 최근 성인봉 근처에서 관찰되었지요. 그런데... 이 사진은 울릉도에서 남쪽인 통구미마을쪽에서 관찰하였지요. 이른 아침에 다람쥐 한마리가 뛰어가더군요. 울릉도에 다람쥐가 없었던 것은 먹이때문이라고 합니다. 겨울철에 먹을 먹이가 없다고 하네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7.
울릉도여행, 가수 "이장희" 선생님의 울릉천국 울릉도여행, 가수 "이장희" 선생님의 울릉천국 울릉도에 입도한 당일 차를 타고 이동하여 울릉천국에 들렀습니다. 10여년전부터 이곳에 터를 잡고 살고 계신다는 가수 이장희 선생님 하지만, 두번째 방문이지만 또 만나지는 못했네요. 지인분께서 지키고 계셨습니다. 사람들이 너무 많이와서 불편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집쪽은 가지 않고 둘러보았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광각줌렌즈 10-22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7.
희귀조류 물꿩의 아름다운 자태 희귀조류 물꿩의 아름다운 자태 물꿩 소개 도요목 물꿩과에 속하며, 크기는 39~58cm로 여름엔 꼬리가 길고 겨울엔 짧다. 매우 긴 연두색의 발가락이 주요 특징이며, 날개는 흰색, 끝은 검은색이다. 흰색과 노란색, 검은색 등이 섞여 있는 우아한 자태로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며, 여름철새로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개체수가 적은 희귀조류이다. 제주도에서 번식기록이 있으며, 최근 경남 창녕의 우포늪에서도 번식한 기록이 있다. 호수, 연못, 늪 등에서 주로 관찰된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7.
우포늪 가시연 위에서 워킹하는 쇠물닭 우포늪 가시연 위에서 워킹하는 쇠물닭 멸종위기야생생물 식물분야 2급인 가시연이 우포늪에 쫙 깔려있습니다. 지금은 꽃대가 일부 올라온 상태입니다. 가시연에는 가시가 있어서 걸어다니기 힘들어 보이지만 새들에게는 별루 영향을 주지 않는 것 같습니다. 쇠물닭 한마리가 가시연 위에서 워킹하는 모습이 너무도 편해 보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6.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만나다.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만나다. - 도도한 모습으로 워킹하는 것 같습니다. - 지난 주말 우포늪에 물꿩을 촬영하러 갔습니다. 약간 이른 시간이지만 많은 분들이 촬영하고 계시더군요. 전 장비를 제대로 준비를 하지 않아서 먼 곳에 위치한 물꿩 촬영은 어렵더군요. 그래서 이리저리 둘러보기 시작했답니다. 포유류 한마리가 휙 지나갑니다. 뭐지? 카메라를 세우고 촬영하는데 머리를 내밉니다. "족제비다" 속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촬영했답니다. 우포늪의 악동, 야생 족제비를 이렇게 만났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5.
갈대속에 숨어있는 개개비 촬영 갈대속에 숨어있는 개개비 촬영 갈대가 깔린 곳에서 "개개 비비"하는 울음소리가 들립니다. 아! "개개비"가 있구나? 하고 촬영에 들어갑니다. 어디 있지? 찾다보니 갈대 숲에 숨어 보일듯 말듯 합니다. 바람이 불면 나타나고 아니면 보이지 않지만 촬영은 쉽게 된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4.
가을을 기다리는 아름다운 코스모스 가을을 기다리는 아름다운 코스모스 구미 샛강생태공원에서 아름다운 코스모스들을 만났습니다. 요즘 구미는 한참 폭염경보지만 코스모스를 보며, 가을을 기다립니다. 아직은 7월이지만 가을을 대표하는 코스모스를 보니 곧 가을이 올 것 같네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