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84

천수만에서 만난 대형 주황색 오리, 황오리를 만나다. 대형 주황색 오리, 야생의 황오리를 만나다. - 충남 서산시, 천수만 간월호 - 천수만 간월호 상류에서 만난 황오리입니다. 개인적으로 황오리는 야생에서 만나는 새들중에서 화려하답니다. 화려한 새는 먹이활동이나 살아남기 어렵다는데... 꾀꼬리처럼 살아남는 비결이 있나 봅니다. 이번 탐조여행에서 제법 많은 개체수를 만나서 행복했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25.
조류계의 신사, 턱시도를 입은 노랑텃멧새 수컷 조류계의 신사, 턱시도를 입은 노랑턱멧새 수컷 - 경남 창녕, 우포늪에서 - 안녕하세요? 산들강의 새이야기의 산들강입니다. 오늘은 사진급 모델중에서 신사의 느낌이 나는 노랑턱멧새를 소개합니다. 노랑턱멧새 중에 수컷만이 이런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자세히 보면 턱시도를 입은 듯한 느낌이나요. 노랑턱 밑에 삼각형 모양의 검은색은 나비넥타이의 느낌이 난다고나 해야할까요? 사진을 촬영하다보면 참 멋있다는 생각이들지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24.
하늘을 지배하는 독수리의 비상(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하늘을 지배하는 독수리의 비상 -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천연기념물 제243호 - 2013. 11. 23. 낙동강에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인 독수리가 나타났습니다. 독수리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맹금류이지만 실제 사냥은 못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하늘에 떠 있는 모습을 보면 대단한 모습을 보여주는데요. 날개를 펴면 약 3m에 이르러서 지나가는 동물들은 깜짝 놀란답니다. 가히 하늘을 지배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낙동강에 나타난 독수리는 하늘을 몇바퀴 돌다가 남쪽으로 사라졌습니다. 아마도 먹이를 찾아 돌고 있으며, 고성으로 향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24.
안개 속을 유영하는 희귀새 흰비오리떼 안개 속을 유영하는 희귀새 흰비오리떼 - 경남 창원 동읍, 주남저수지에서 - 흰비오리는 흔하지 않는 겨울철새랍니다. 수컷의 경우 몸이 흰색이고 눈 주위는 검은색이라 점박이가 생각납니다. 암컷은 몸은 회색이며, 갈색의 머리와 흰색의 빰, 목이 대조를 이뤄 구별하기 쉽습니다. 호수, 저수지, 하천, 하구에서 어렵게 만날 수 있습니다. 흰비오리 암컷 사진입니다. 수컷은 제일 위쪽의 흰색 새 한마리가 보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23.
숲속의 요정, 귀요미 다람쥐는 사진모델(순간포착) 숲속의 요정, 귀요미 다람쥐는 사진모델 - 다양한 포즈, 순간포착 - 깊은 숲속을 걷다가 만난 숲속의 요정입니다. 얼마 귀여운지요? 오늘 만난 다람쥐는 저에게 다양한 포즈를 잡아주네요. 사진모델을 해도 괜찮을 듯 합니다. 이번에는 먹이를 먹는 모습의 자세입니다. 자세히 보면 먹이를 이빨로 까면서 먹습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22.
천수만 뿔논병아리의 물고기 사냥(한입에 꿀꺽) 천수만 뿔논병아리의 물고기 사냥 - 한입에 꿀꺽, 겨울철새 - 천수만 간월호에서 만난 겨울철새 뿔논병아리입니다. 몇년간 만났지만 물고기 사냥장면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한입에 꿀꺽하는 모습이 왜가리가 연상되네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9.
안개낀 주남저수지를 비행하는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종] 안개낀 주남저수지를 비행하는 노랑부리저어새 - 멸종위기야생생물(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 주남저수지를 찾은 지난 11. 16. 토요일, 안개가 자욱하게 덮여있었죠. 안개로 인해 실망을 하면서 이리저리 돌아다니다... 부리가 특이하게 생긴 새 한마리가 휙~~~하고 지나갑니다. 서둘러 촬영을 해서 확인해보니 노랑부리저어새네요. 어제 물새네트워크에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니 주남저수지에 노랑부리저어새 11마리가 와있다고 합니다. 그 중 한마리인 것 같은데... 날아가는 모습이 특이합니다. 다리를 하나 내려져 있는 것이 다친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8.
2013. 11. 16. 토요일, 창원 주남저수지의 안개낀 소소한 풍경 창원 주남저수지의 안개낀 소소한 풍경 - 2013. 11. 16. 토요일, 망원렌즈로 촬영 - 2013. 11. 16. 토요일, 경남 창원 동읍에 위치한 주남저수지에 다녀왔습니다. 주 목적은 겨울철새 도래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답니다. 그런데... 집을 나설 때부터 안개가 자욱... 그래도 도착하면 9시쯤 되니 안개가 걷히겠지 하면서 대구에서 떠났답니다. 도착하니 완전 안개 가득... 10시 30분부터 조금씩 안개가 걷히더군요. ㅎㅎㅎ 그 사이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망원렌즈로 촬영한 것이라 주남저수지 전체 풍경은 없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7.
숨은그림 찾기_천수만 수풀에 숨어있는 까투리(꿩의 암컷) 오늘은 천수만 수풀에 숨어 있는 꿩의 암컷 즉, 까투리를 찾는 숨은그림 찾기입니다. 움직이 없다면 절대 알아볼 수 없는... 너무 위장이 잘 되어 있지요. 지금부터 2장의 사진에서 까투리를 찾아보세요. ㅎㅎㅎ 까투리를 찾으셨나요? 이렇게 크게 촬영해 놨는데... 못찾으셨다면 말이 안되겠지요. ㅋㅋㅋ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답은 아래 사진이랍니다. 600mm 대포렌즈로 촬영한 것이니 얼마나 작은 것인지 알겠지요. ㅎㅎㅎ 아주 작은 움직임으로 저는 알게되었답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7.
해진 뒤 천수만을 찾는 귀한손님 흑두루미들... 해진 뒤 천수만을 찾는 귀한손님 흑두루미들... -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제228호 - 지난 11. 8. 오후5시 30분경... 천수만 간월호에서 만난 흑두루미들입니다. 요즘 어둠이 빠르게 찾아오지요. 그래서 이 시간이 되면 어둠이 하늘을 덮습니다. 저는 카메라를 최대한 노출시키고 iso를 최대한 높혔답니다. 그런다음 한 컷씩 촬영 했지요. 뒷쪽에 비치는 불빛이 참 이채롭습니다. 이날 만난 흑두루미는 총 375마리랍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5.
아라빛섬의 석양과 풍력발전기를 한장의 사진에... 아라빛섬에서 만난 풍력발전기와 소소한 석양 인천 서구 경서동에 위치한 아라뱃섬... 경인아라뱃길의 시작이자 마지막인 곳이죠. 처음 들런 이곳에서 만난 석양을 올려봅니다. 광각렌즈로 인근에 있는 풍력발전기도 함께 담았습니다. 그런데... 풍력발전기는 광각렌즈에 의해 왜곡되어 넘어질 것 같습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광각렌즈 10-22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2.
순간포착, 쇠기러기들 사이 돋보이는 흰기러기 관찰 순간포착, 기러기들 속에 흰기러기 한 마리 - 충남 서산시, 천수만 간월호에서 - 이번 천수만 탐조의 주목적이 흰기러기를 만나는 것이었답니다. 도착한 즉시 쇠기러기들이 앉아 있던 간월호에서 흰기러기 한마리를 발견하였답니다. 2천여마리의 쇠기러기들 사이에 눈에 반짝 띌만큼 별난 모습의 흰기러기는 단연 돋보였습니다. 흰기러기는 쇠기러기가 흰색으로 변한 것이 아닙니다. 크기는 쇠기러기 72cm보다 약간 작은 67cm정도입니다. 검은색의 첫째날개깃을 제외한 몸 전체가 흰색으로 다른종과 혼동되지 않습니다. 부리와 다리는 분홍색이고 우리나라에는 쇠기러기 무리에 가끔 섞여 도래합니다. 처음 만난 흰기러기로 인해 또 한종이 추가되었습니다. 가끔은 이런 맛에 새사진을 촬영하는 가 봅니다.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2013. 11. 11.
[새사진] 구미 해평습지 흑두루미의 우아한 비행 [새사진] 구미 해평습지 흑두루미의 우아한 비행 - 멸종위기종 2급, 천연기념물 제228호 - 경상북도 구미에 위치한 해평습지에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228호로 지정 보호하는 흑두루미들에 날아들었습니다. 흑두루미들이 아주 우아한 비행하는 모습이 참으로 멋져보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10.
끝이 노랑색인 주걱 모양의 부리를 가진 노랑부리저어새(천수만 간월호) 천수만 간월호의 희귀조류, 노랑부리저어새 - 멸종위기종 2급, 천연기념물 제205호 지정보호 - 아주 오래간만에 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천수만 간월호에 다녀왔습니다. 여러종류의 새를 만나 당분간 계속 포스팅을 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부리 모양이 주걱을 닮고 끝이 노랑색인 노랑부리저어새입니다.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2급과 천연기념물 제205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는 새입니다. 특징은 앞에서 이야기를 했지만 부리의 끝이 노랑색이고 모양이 주걱처럼 생겼습니다. 몸 전체가 흰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검은 색이랍니다. 상류에서 만난 노랑부리저어새 3마리 조금 더 밑에서 만난 노랑부리저어새 15마리... 이렇게 총 18마리를 만났답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서해안이나 우포늪, 주남저수지에서 가끔만날 수 있는 아주 희귀한 조.. 2013. 11. 10.
안개낀 화원유원지, 몽환적인 빛갈라짐을 만난다. 빛갈라짐이 몽환적인 화원유원지 - 안개와 빛이 만든 환상적인 분위기 - 대구 달성군 화원읍 인근에 위치한 화원유원지에 올랐습니다. 흑두루미를 만날 수 있을까해서였지요. 하지만 오르기전부터 안개가 자욱하게 끼어 앞을 분간 할 수 없었지요. 보통 9시가 넘어가면 안개가 없어지니 기다려볼겸 해서 그대로 올랐습니다. 보이는 건 안개밖에 없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9시가 지나니 해가 뜨고 나무들 사이로 빛이 새어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안개와 빛이 만들어내는 몽환적인 분위기는 경주 삼릉숲을 능가라는 것 같았습니다. 몇번을 찾은 곳이지만 이런 모습은 처음이네요.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광각렌즈 10-22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6.
[새사진] 대구수목원에서 만난 귀요미 오목눈이 [새사진] 대구수목원에서 만난 귀요미 오목눈이 - 새는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만 보입니다. - 새를 촬영하다보니 느껴지 것이 있습니다. 예전엔 까치, 까마귀, 참새, 백로 등 몇종의 새만이 있는 줄 알았지요. 그러다가 새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면서 새 종류가 참 많다는 걸 알았지요. 관심을 가진 사람 많이 많은 새를 볼 수 가 있더군요. ㅎㅎㅎ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6.
[새사진] 물고기 사냥꾼, 민물가마우지의 백발백중 사냥 실력 [새사진] 민물가마우지의 백발백중 물고기 사냥 실력 - 물고기 사냥꾼, 경북 포항 형산강에서 - 물고기 사냥꾼으로 유명한 민물가마우지를 만났답니다. 민물가마우지의 별명에 잘 어울리게 물속에 들어갔다하면, 물고기 한마리를 물고 나오네요. ㅎㅎㅎ 대단하지요. 어떻게 하면 저리 잘 잡을까요. 물고기를 잡고 나서 먹는 것도 한입에 꿀꺽... 정말 대단한 새입니다. [사진 촬영 장비] 캐논 dslr 카메라 7d와 초망원렌즈(대포렌즈) 6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3. 11. 4.
겨울진객 흑두루미가 떠난 자리, 큰 발자국이 남았네요. 흑두루미의 발자국을 본 적이 있나요? - 먹이를 공급하러 갔었습니다. - 흑두루미는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됩니다. 국제적멸종위기종이기도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귀한 손님이라는 뜻에서 겨울진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흑두루미는 전세계적으로 약 11,500마리가 생존해 있고 이중 대부분이 우리나라를 거쳐 일본 이즈미시에서 월동을 합니다. 저는 이번에 처음으로 흑두루미의 발자국을 봤습니다. 그동안 아무 생각없이 사진만 촬영하다가 먹이를 공급하러 갔었죠. 현장에 들어서는 순간 깜짝놀랐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것보다 발자국이 상당히 컷습니다. 그러면서 키가 1m 정도 되니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 새들의 발자국도 좀 더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입니다. 아래 사진은 며칠전 공급한 먹이인데.. 2013.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