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79

2012년 12월 야생동물 PC바탕화면 이미지 공개(황새 등 5종) 2012년 12월 야생동물 PC바탕화면 이미지 공개 - 포유류 1종, 조류 4종 등 총 5종 - 2012년 12월 야생동물 사진을 활용한 PC바탕화면 이미지를 공개합니다. 이번달 주제는 야생고라니, 황새, 흑두루미, 멋쟁이, 독수리 등 5종입니다. 다운 받아 설치하실 분은 아래 사이즈에 따라 받으시기 바랍니다. 모니터에 따라 1280*853, 1280*1024 두가지 사이즈로 되어 있습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2. 2.
하늘의 제왕! 독수리의 카리스마 넘치는 비행장면 하늘의 제왕! 독수리의 카리스마 넘치는 비행 - 경북 상주,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에서 - 경북에는 국가습지보호지역 한 곳이 있습니다. 알고 계신지 모르겠지만 경북 상주의 공검지입니다. 공검지는 원래 공갈못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11. 6.경에 국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는 이곳을 방문했습니다. 어떻게 생겼는지 궁금해서 한바퀴 돌고 있는데 파란하늘 위에 까만 한점이 보입니다. 뭘까? 망원렌즈로 바라보니 멸종위기야생생물 조류 2급으로 지정된 독수립니다. 아직은 본격적으로 도래시기가 아니라서 그런지 1마리만 관찰되더군요. 먹이를 찾아 머리를 이리저리 돌리고 있더군요. 아마도 공검지 인근에 있는 축사를 지켜보는 것 같았습니다. 독수리는 하늘의 제왕으로 불리는 새입니다. 날고 있는 모습을 보면 참 대단.. 2012. 11. 29.
야생 고라니의 증명사진 촬영방법 야생 고라니의 증명사진 촬영방법 오늘은 야생 고라니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발견하면 야생고라니 사진은 아주 쉽게 촬영할 수 있지만 반대면 언제나 쏜살같이 달아지요. 1. 주의 깊게 관찰, 2. 가능하면 멀리까지, 3. 위장 복장, 4. 조용한 이동, 5. 발견 후 대처는 천천히 제자리에 앉는다. 6. 촬영은 가능한 1장씩(쳐다볼때는 잠시 기다려주는 센스) 7. 모두 촬영한 뒤에는 야생 고라니가 사라진 후 이동한다. 궁금해서 앞다리를 살짝 들어 저를 쳐다봅니다. ㅎㅎㅎ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27.
예쁜 멋쟁이의 먹이활동(다래 열매) 예쁜 멋쟁이의 먹이활동(다래 열매) 머루랑 다래랑 할때 그 다래를 멋쟁이가 먹이활동하고 있습니다. 붉은색과 검은색, 회색이 조화롭게 생긴 멋쟁이 참으로 예쁜 모습이지요. 크기는 15cm라 작지만 통통한 모습이라 제법 크게 느껴집니다. 멋쟁이는 멋쟁이새라고도 부른답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24.
주남저수지 큰고니의 힘찬 비행 주남저수지 큰고니의 힘찬 비행 -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 - 주남저수지에서 만난 큰고니입니다. 제가 갔을 당시엔 300여마리가 관찰되었는데... 지금은 더욱 많이 관찰될 것 같습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24.
주남저수지에 멸종위기종 재두루미 본격 도래 주남저수지에 멸종위기종 재두루미 본격 도래 - 2012. 1. 16. 9마리 확인 - 겨울진객 재두루미는 멸종위기야생생물(멸종위기종)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습니다. 주남저수지에는 아직까진 물이 많습니다. 물을 조금 빼서 하중도가 드러나면 새들이 좋아할 것 같습니다. 주남저수지에 재두루미가 도래하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들입니다. 2012. 11. 16. 확인된 재두루미는 9마립니다. 처음엔 7마리인줄 알았는데 반데쪽에서 확인을 해보니 9마리더군요. ㅎㅎㅎ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네이버 블로그로 이전 중입니다. 새를 촬영하는 사람_http://blog.naver.com/oks4686) 2012. 11. 17.
늦가을에 만개한 개나리꽃 늦가을에 만개한 개나리꽃 - 안동 계명산자연휴양림 - 기후변화(온난화)의 영향인지 며칠전 다녀온 안동 계명산자연휴양림에서 만개한 개나리를 만났습니다. 봄이 아닌 가을이라 꽃은 아름답지만 마음은 쓸쓸하더군요. 아침 일찍 안동 계명산자연휴양림의 산책로를 걷고 있었습니다. 비가 내려서인지 나뭇가지엔 물방울이 맺혀있더군요. 이른 새벽에 활동하는 조류나 포유류를 만날까 싶어 망원렌즈를 장착해서 들고 갔답니다. 개나리꽃도 망원렌즈로 촬영한 것입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새를 촬영하는 사람(네이버, http://blog.naver.com/oks4686)로 이전 중입니다. 2012. 11. 13.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포유류) 담비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포유류) 담비 친구들과의 모임에 갔다가 아침 등산길에 올랐습니다. 정상에 도착한 후 내려오는 길에 500m앞 숲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발견했습니다. 망원렌즈가 장착된 카메라를 꺼내들고 확인을 해보니 담비였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담비가 2종류가 살고 있습니다. 이남에 사는 노란목도리담비와 이북에 살고 있는 대륙목도리담비가 있죠. 담비는 식육목 족제비과 담비속에 속하며, 크기는 35 ~ 60cm정도로 삵보다 큽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12.
우포늪의 붉은 일몰 우포늪의 붉은 일몰 우포늪에 새를 촬영하러 갔다가 바람도 많이 불고 최근 비가 내려 새들은 한쪽 구석에 모여있었답니다. 그래서 적당히 몇 컷을 촬영하고 올려는데... 해가 지더군요. 카메라 배터리는 다되어 가고... 그래서 급히 몇 컷만 촬영해서 올립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광각줌렌즈 10-22mm 산들강의 새이야기(네이버에 새를 촬영하는 사람으로 이전 중입니다.) 2012. 11. 12.
천수만의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천수만의 노랑부리저어새(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2012. 11. 9. 낮 12시 30분경 천수만 인근의 작은 웅덩이에서 만난 노랑부리저어새 40마리 천수만에도 도로 공사중이라 새들이 논에 주로 있고 랑부리저어새는 이곳에만 관찰되더군요. 며칠전에는 우포늪에 나타났다고 하니 주남저수지에서도 곧 관찰될 것 같습니다. 노랑부리저어새를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는 곳에 주남저수지이니 12월엔 그곳으로 출사를 떠나야할 것 같습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10.
천수만의 흑두루미(멸종위기종, 쳔연기념물) 천수만의 흑두루미(멸종위기종, 쳔연기념물) 천수만 농경지에서 먹이활동을 하던 흑두루미들입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에 있는 흑두루미는 흑두루미와 검은목두루미의 교배종으로 보이구요. 요즘 티스토리에서 운영하던 산들강의 새이야기를 네이버에서 새를 촬영하는 사람이라는 블로그로 조금씩 이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보다 많이 신경을 못쓰고 있으니 양해바랍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9.
집앞 주차 차량에 가한 황당한 응징 집앞 주차 차량에 가한 황당한 응징 점심시간 운동삼아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뭔가 이상한 것이 보이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거주지 주차, 주차금지"라는 팻말이 차량 위에 올려져 있는 황당함이라니... 누구 차인줄 모르겠지만 지나가는 객이 봐도 황당하더군요. 거주지 우선 주차제도는 제가 알기론 주차선이 있어야 되는데 없었습니다. 진짜 거주지 우선 주차구역이었다면 견인차를 불렀겠지요. 차량 앞뒤에 팻말을 놓는 건 그래도 이해를 하겠는데 차량 위에 올려져있는 건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까요? 정말 황당함의 극치를 보는 것 같습니다. 지나가면서 황당하길래 모든 사람들에게 알려줄 생각으로 촬영하여 올립니다. 2012. 11. 6.
9cm 크기의 초소형 조류 상모솔새 9cm 크기의 초소형 조류 상모솔새 상모솔새는 참새목 휘파람새과에 속하며, 크기가 9cm인 초소형 조류입니다. 참새가 15cm이니 얼마나 작은 줄 알겠지요. 머리꼭대기가 노란색이라 상모를 쓰고 있는 것 같아 이름이 상모솔새라 불린답니다. 이 곳에 붉은 점이 있으면 수컷이고 없으면 암컷이라 것도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침엽수림을 좋아하니 관찰하고 싶으면 이곳에서 잠복하고 기다려야 합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6.
닐스의 모험이 생각나는 큰기러기 비행 닐스의 모험이 생각나는 큰기러기 비행 - 경남 창녕, 우포늪에서 - 기러기떼를 보고 있으면 어릴적 본 만화동화에 나오는 닐스의 모험이 생각난다. 모든 어린이들이 똑같은 생각을 가지겠지만 나도 기러기를 타고 세상 끝까지 구경을 하고 싶었다. 요즘은 새사진에 푹빠져서 새를 찾아다니지만 기러기떼를 보면 그떄 그생각이 납니다. ㅎㅎㅎ 큰기러기들은 요렇게 줄을 서서 다닌다. 그러다가 만만한 상대를 만나면 고개를 쳐들고 큰소리를 떠들면서 대든다. 결국 지는 놈이 자리를 비켜주는 방식인데... 혼자서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사실 우포늪에 도래하는 큰기러기는 두 종류이다. 논에서 낟알이나 초본류를 먹는 큰기러기와 수초의 뿌리와 열매를 먹는 큰부리큰기러기가 있다. 둘의 관계는 큰부큰기러기가 큰기러기의 .. 2012. 11. 5.
모터 패러글라이딩의 달성습지 유린 모터 패러글라이딩의 달성습지 유린 화원유원지 전망대에서 달성습지에 어떤 새들이 날아오나 모니터링을 하고 있었습니다. 저 멀리서 모터를 단 패러글라이딩 2대가 비행하면서 내려옵니다. 내려올때만 해도 모터의 소리는 별로 들리지 않아 한편으로 미웠지만 별루 크게 관심도 없었습니다. 새들도 모두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었기 떄문이지요. 그런데 고령쪽 운동장에 착륙을 하고 30여분이 지났을까? 갑자기 엔진의 굉음이 들리는 겁니다. 그래서 둘러보니 모터 패러글라이딩하는 기체가 하늘을 날아오르는 겁니다 아~ 정말 신경질 나더군요. 뭐 저딴 사람들이 있지 싶을 정도입니다. 달성습지는 대구시에 의해 습지보호지역과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는데... 이런 만행을 저지러다니... 달성습지를 구경하던 사람들도 모두.. 2012. 11. 4.
창녕 우포늪에 우아한 고니 첫 도래 창녕 우포늪에 우아한 고니 첫 도래 큰고니와 고니는 어떻게 다를까요? 두종 모두 멸종위기종이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답니다. 구별법은 부리의 노란색 기부 모양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큰고니는 끝이 뾰족하면서 길게 나온 반면 고니는 끝이 뭉턱하지요. 그래서 오늘 사진들은 모두 노란색의 끝 모양이 뭉턱하여 고니라 부른답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4.
생쥐를 사냥한 맹금류 황조롱이 생쥐를 사냥한 맹금류 황조롱이 바람이 심하게 불던 날입니다. 차를 타고 이동하는 중이었는데 황조롱이가 정지비행 중입니다. 차를 세우고 카메라를 꺼내드니 황조롱이가 땅바닥으로 내리 꽂습니다. 뭘하는 걸까? 카메라로 다다닥 촬영하고 확안해 보니... 사냥한 생쥐를 달고 날아갑니다. ㅎㅎㅎ 황조롱이는 문화재청에 의하여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는 조류입니다.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1. 3.
맹금류 황조롱이를 공격하는 방울새떼 순간포착 맹금류 황조롱이를 공격하는 방울새떼 순간포착 구미 해평습지에서 만난 황조롱이... 그런데 방울새가 공격을 합니다. 황조롱이가 방울새를 괴롭힌 걸까요? 방울새 30여마리가 황조롱이를 공격을 합니다. 1분여동안 계속되는 모습에 황조롱이는 멀리 도망 가버렸답니다. ㅎㅎㅎ 캐논 DSLR 카메라 7D와 망원렌즈 100-400mm, 산들강의 새이야기 2012. 10. 31.